2024년 11월 25일부터 전국 229개 시군구에서 위기가구 AI 초기상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더 신속하게 찾아내고 지원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AI 초기상담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을 거쳐 전국적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이제 복지 공무원이 일일이 연락하던 초기상담 단계에서 AI가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복지 욕구를 파악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더 빠르게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복지 모델을 제시합니다.
AI 초기상담 서비스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단전, 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 47종의 위기정보를 기반으로 위기가구를 찾아내는 시스템입니다. 위기가구로 의심되는 약 120만 명을 대상으로 연 6회 초기상담을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운영됩니다.
AI가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복지욕구를 파악함으로써 공무원의 초기 상담 업무를 줄이고, 심층상담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상담 전화는 발신 전용 번호(1600-2129)로 이루어지며, 발신자명은 “읍면동AI복지상담“으로 표기됩니다.
대구 사례: 금융 연체로 어려움을 겪던 A씨는 AI 초기상담을 통해 경제적 위기를 신속히 확인하고, 생계 지원, 고용 복지센터 연계, 채무 조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서울 사례: 기존에는 담당 공무원이 100여 명의 대상자에게 개별적으로 전화해 상담을 진행했으나, AI 시스템 도입 후 상담 시간을 대폭 줄이고 위기가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아닙니다. 위기가구로 판단되지 않았더라도 복지가 필요하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AI가 전화를 걸어 복지 필요 여부를 묻는 질문을 진행하며, 해당 정보를 공무원이 확인 후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I 상담 결과를 기반으로 심층상담 및 가구 방문을 통해 복지서비스를 연계합니다.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korea.kr>
AI 초기상담 서비스는 기술과 복지가 결합하여 위기가구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복지 전달 체계입니다. 이번 전국 확대 시행으로 더 많은 국민이 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복지의 새로운 변화를 경험하고 싶다면 지금 지역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거나 AI 초기상담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세요!
2025년부터 K-패스 제도가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혜택과 유형을 추가하며 확대됩니다. 다자녀 가구를 위한…
오늘은 25년 정책 변경에 관한 내용 안내해 드리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5년부터 시행될 다양한…
2025년 1월부터 국세청의 홈택스 서비스가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이번 개편은 납세자의 신고·납부 편의성을 넘어, 실수를 최소화하고…
오늘은 단통법 폐지에 관한 내용 전해드리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2024년 12월 26일, 단말기 유통법 폐지 법안이…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4년 해외 OTT 시장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