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섬네일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위축되어가고 있는 청년 고용을 장려하고자 현재 6개월 이상 실업 상태인 만 15세부터 만 34세의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최대 1,200만 원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코로나19 이후로 경기 침체뿐만 아니라 청년들의 취업도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일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취업하기 쉽지 않으신가요? 직장생활을 하며 월급을 받는다면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원하는 직장에 취업도 하고 최대 1,200만 원의 장려금도 받을 수 있는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에 대해 알아봅시다.
장려금은 단순히 우리가 신청하는 것만으로는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기업 측에서 운영기관에 채용계획을 제출하여 검토 및 승인 받아 운영기관과 기업 간의 지원협약의 체결이 우선입니다. 이미 운영기관과 기업 간에 협약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습니다.
그 후에 우리는 누리집 사이트를 통해서 청년 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기업은 채용 후에 기관에 채용 명단을 제출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하여 임금을 지급합니다. 6개월 후에 고용 유지 기간이 되면 운영 기관에 장려금을 신청하게 됩니다.
채용일 기준으로 6개월 이상 실업 상태로 있는 만 15세 ~ 만 34세의 취업 애로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2023년에는 취업 애로 청년의 범위가 더 넓어져 기회가 더 많아졌습니다.
2023년도 기준 장려금은 기업마다 최대 30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2년간 최대 1,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장려금 사업 운영기관은 2023년 현재 179개소가 있습니다.
자세한 운영기관 명단은 아래의 사이트에 방문하셔서 보시면 됩니다.
2025년부터 K-패스 제도가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혜택과 유형을 추가하며 확대됩니다. 다자녀 가구를 위한…
오늘은 25년 정책 변경에 관한 내용 안내해 드리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5년부터 시행될 다양한…
2025년 1월부터 국세청의 홈택스 서비스가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이번 개편은 납세자의 신고·납부 편의성을 넘어, 실수를 최소화하고…
오늘은 단통법 폐지에 관한 내용 전해드리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2024년 12월 26일, 단말기 유통법 폐지 법안이…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4년 해외 OTT 시장조사…